부호
+= : 숫자 덧셈 후 대입
-= : 숫자 뺄셈 후 대입
*= : 숫자 곱셈 후 대입
/= : 숫자 나눗셈 후 대입
%= : 숫자의 나머지를 구한 후 대입
**= : 숫자 제곱 후 대입
- ex)
number = 100
number += 10
number += 20
number += 30
print(number)
160
문자열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음.
+= : 문자열 연결 후 대입
*= : 문자열 반복 후 대입
- ex)
string = "안녕하세요"
string += "!"
string += "!"
print("string", string)
string 안녕하세요!!
- string = "안녕"
string *= 3
string *= 3
print("string:", string)
string: 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안녕
출처 :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p116,117
'python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ignore 파일에 대한 완벽 가이드 (2) | 2024.07.01 |
---|---|
라이브러리 공식 문서를 잘 보는 것이 중요한 이유와 보는 방법 (0) | 2024.06.28 |
Docstring의 중요성 (0) | 2024.06.28 |
딕셔너리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6.27 |
Iterable 자료형과 Scalar 자료형의 차이점 (2) | 2024.06.27 |